Insight #101_구글의 AI 전략, 라마3, Benchmark, Vista Equity Partners, Devin, Ramp vs Brex, 누뱅크, 쿠팡, 에어프레미아, Thrive Capital, Spark Capital, 현금의 재발견, 버크셔 해서웨이의 재탄생, 김은숙 작가
다들 즐거운 연휴 보내고 계신가요? 저는 오래간만에 가족들하고 뮤지엄산으로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모두들 행복한 시간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
오늘은 AI, 핀테크, 커머스, 항공, 금융, 투자에 대해 다룹니다.
뉴스레터 외에도 텔레그램 및 블로그에서 저의 생각을 접해보실 수 있습니다.
#AI
Gemini 1.5 and Google’s Nature - Stratechery
구글이 바라보는 LLM의 역할: 정보를 제공하거나 특정한 액션을 취하는 것이 아니라, 전문 지식이 필요하거나 분석에 시간이 필요한 데이터를 이용하기에 훨씬 더 접근성이 좋은 인터페이스로의 역할 + Gemini는 long context understanding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이에 필요한 인프라가 충분히 구축되어 있음 (ex: TPU)
구글이 가지고 있는 리소스를 잘 활용한다면 딱 이러한 모습이지 않을까 상상했었는데, 드디어 그 모습들이 구현되기 시작했다.
An Interview with Google Cloud CEO Thomas Kurian About Google’s Enterprise AI Strategy - Stratechery
모델 자체보다 클라우드 사업자의 운영 전략이 더 중요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When AI came along, the first cycle was everybody thinking, “I have to pick a model,” and the model changes every three weeks and so our point was, “You’re chasing the wrong thing when you think about picking a model, what you need to do is to think about a platform”, because you need to integrate it into your heterogeneity and think about the platform first and the model second, and make sure the platform supports a collection of models, because you may choose the latest one from anybody, and so that’s the nature of it."
그리고 구글의 진정한 강점은 인프라 엔지니어링일 수도 있을 것 같다.
"We are known as a company with great engineering prowess. You asked, Ben, what’s the nature of Google? Google at the heart of it is a great engineering company. We build great products, we know how to build the most scalable infrastructure in the world."
"We are not looking to raise a trillion dollars to build a supercomputer because we’ve been building one for ten years, and it’s our fifth generation of building one of those, so we’re not learning on the job for the first time."
Google is combining its Android and hardware teams — and it’s all about AI
구글이 Platforms and Devices 팀을 신설 (Google’s Pixel products 와 Android, Chrome, ChromeOS, Photos 조직을 통합). 구글은 전사 차원에서 모든 제품/서비스에 AI 붙이는걸 최우선순위로 삼고 있다. 살짝 늦은 감은 있지만, 구글이 가진 것을 잘 활용하면 장기적으로 충분히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리라고 생각한다.
하루 밤 사이에 바뀌는 AI 대어들의 사업 전략과 생태계 파급효과 - jasonlee
물론 구글의 본진인 검색 분야에서 계속해서 외부의 챌린징이 들어오는 중이기도 하다. 이젠 본격적으로 경쟁 플레이어들의 BM 테스팅 움직임들도 나타나기 시작.
OpenAI는 로그인 없이도 ChatGPT를 제공하기 시작
Perplexity는 기존 광고에 대한 부정적 stance를 거두고 광고 모델을 시험할 예정
Google은 2023년 5월 무료로 시범적으로 출시한 Google Search Generative Experience(SGE)의 구독모델 과금화를 구상 중
Google은 Hubspot (Salesforce 경쟁사 CRM 툴) 인수를 고려하고 있음 → 단순히 검색에서 멈추는게 아니라 퍼널을 확대하려는 움직임
Perplexity launches Enterprise Pro
그와중에 검색 서비스 Perplexity가 $62.7m 투자를 받으며 유니콘으로 등극. 생각보다 주변에 돈내고 쓰는 유저들이 많은 것 같고, 그들의 반응들도 괜찮은 것 같다.
회사는 B2B 엔터프라이즈 사업에 조금 더 드라이브 거는 모습. 구글이 B2B에 상대적으로 약하다는걸 고려해보면 꽤나 합리적인 전략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Introducing Meta Llama 3: The most capable openly available LLM to date
Llama-3 심층 분석: AI 개발동향, 산업 트렌드 및 파급효과 - jasonlee
메타는 오픈소스 모델인 라마3 공개. GPT-4, Clause-3 Opus와 유사한 성능을 보여주는 모델을 오픈소스로 풀어버리는 메타에게 감사해하자.
Introducing Our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for AI | Meta
메타 또한 구글과 마찬가지로 한달에 30억명이 넘는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굴리고 있다는게 보이지 않는 해자이다.
Mark Zuckerberg - Llama 3, Open Sourcing $10b Models, & Caesar Augustus
라마3 공개한 직후 한 팟캐스트에서 마크 저커버그를 인터뷰했는데, 역시나 마크 저커버그는 탁월한 전략가인 동시에 엄청난 사상가이고 비저너리다.
Our bet is that it's going to basically change all of the products.
Then I think interacting with other agents for other people is going to be a big part of what we do, whether it's for businesses or creators.
I think creators is going to be a big one.
I actually think before we hit that, you're going to run into energy constraints.
It seems quite possible that in the future, more of what we call training for these big models is actually more along the lines of inference generating synthetic data to then go feed into the model. I consider the generation of synthetic data to be more inference than training today.
I think it's going to be pretty fundamental. I think it's going to be more like the creation of computing in the first place. → AI 엄청 크게 보고 있다.
I think another bias that people tend to have is thinking that intelligence is somehow fundamentally connected to life. It's not actually clear that it is. I don't know that we have a clear enough definition of consciousness or life to fully interrogate this. → 지능을 생각할 때 우리 인간의 지능만 두고 생각해선 안될 수도 있다.
I just really like building things. I specifically like building things around how people communicate and understanding how people express themselves and how people work. When I was in college I studied computer science and psychology. I think a lot of other people in the industry studied computer science. So, it's always been the intersection of those two things for me. → 저커버그의 원동력
They can’t understand how that would be a valuable thing for people to do or how it would be a reasonable state of the world. I think there are more reasonable things than people think. → 오픈소스로 모델 푸는건 저커버그 입장에선 전략적인 선택이기도 하겠지만, 사실 굉장히 철학적인 선택이구나.
So there's multiple ways where open source could be helpful for us. One is if people figure out how to run the models more cheaply. We're going to be spending tens, or a hundred billion dollars or more over time on all this stuff. So if we can do that 10% more efficiently, we're saving billions or tens of billions of dollars. → 오픈소스로 푼 전략적인 이유
The approach that we took is we first built custom silicon that could handle inference for our ranking and recommendation type stuff, so Reels, News Feed ads, etc. That was consuming a lot of GPUs. When we were able to move that to our own silicon, we're now able to use the more expensive NVIDIA GPUs only for training. At some point we will hopefully have silicon ourselves that we can be using for at first training some of the simpler things, then eventually training these really large models. → AI 상용화 시대에선 엔비디아 독점 체제가 깨질 수 있다.
[번역] 아마존 2023년 주주서한 전문 #3(完) - 제너럴폭스
아마존도 상대적으로 조용하지만 자기 역할을 꽤 잘 해나가면서 다가올 시대를 대비하고 있다고 느껴진다.
"사람들이 종종 이렇게 묻습니다. 현재 아마존에는 마켓플레이스와 프라임, AWS라는 중심축이 있잖아요. 다음은 무엇인가요? 생각거리를 던지는 질문입니다만, 이렇게 질문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전에 없던 수준의 고객 경험을 가능케 할 차세대 프리미티브를 구축하고 있나요? 시사하는 바가 더 많은 질문입니디."
"현 시점에서 제가 드릴 답변은 생성형 AI입니다."
Musk’s xAI Is Close to Raising $6 Billion from Sequoia, Others - The Information
머스크의 xAI는 $18b에 $6b 투자받는걸로 딜이 진행되고 있음. 역시나 GPU 사는데 돈 쓰겠지?
"they ultimately need 100,000 GPUs to train Grok 3.0"
Harry Stebbings on Twitter / X
샘 알트먼과 Lightcap(OpenAI COO)의 생각
"There are usually 1-3 things that matter in a company. He has an incredible ability to be focused on those."
"Not having enough computing resources would slow us down."
"CEO decisions are either WHAT or HOW."
"Ask whether a 100x model improvement is something a company’s excited about."
"The long term differentiation won’t be the base model. It will all be about personalization."
OpenAI’s CEO Says the Age of Giant AI Models Is Already Over - Wired
위의 마지막 문장 (personalization)과 함께 생각해보면 좋을 문장.
“I think we're at the end of the era where it's going to be these, like, giant, giant models,” → “We'll make them better in other ways.”
아니면 아예 다른 의미일 수도 있다 (내 추측으론 reasoning 성능을 극대화한 알고리즘을 찾아내지 않았을까 싶다)
미스트랄이 $5b 가치로 펀딩 돌고 있다는 소식. 계속해서 투자가 이어지는 로컬 LLM들. 물론 미스트랄을 단순히 로컬 LLM으로 봐야할지는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다. 미스트랄은 모델 자체의 성능이 충분이 뒷받침되고 있기 때문.
다만 이번에 OpenAI의 일본 직접 진출 소식을 보면서 이번 시대에는 로컬 플레이어들의 약진이 쉽지만은 않을 수 있겠구나 다시 한번 생각이 들었다 (참고: OpenAI의 일본어용 커스텀 모델 출시)
Snowflake Arctic - LLM for Enterprise AI
스노우플레이크와 데이터브릭스 모두 자체 모델을 만들었다. 사실 지금은 특별한 점이 보이지는 않는데, 장기적으로 두 기업은 엔터프라이즈에 필요한 모델을 만드는데 집중할테니 꾸준히 소식을 체크해보긴 해야겠다.
벤치마크는 이미 AI 어플리케이션에 투자하고 있다. 감사하게도 구체적으로 어떤 관점으로 투자하고 있는지 알려주는 Sarah Tavel.
이미 꽤나 탄탄한 수요가 있으면서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에 투자한다는 공통점이 보이고, 그럴 수 있는 이유는 이전에 비해 압도적인 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한다. 그리고 이런 회사들을 과소평가하지 말라고 친절하게 조언해주고 있다.
"Amazon, Netflix, eBay, Uber, Airbnb - when each launched, they seemingly targeted small markets, and yet had insatiable demand for their offerings. The secret, obvious in retrospect, was that they provided a 10x better experience than the incumbent substitute, and provided that service cheaper by using technology to have a structural cost advantage over the incumbents."
"In each case, almost everyone underestimated the potential opportunity of these companies."
"What’s critical in each of these cases is that these are not explicitly productivity improvements to existing employees for existing workflows. Instead, they take markets that were constrained by all the effort, friction, and cost of hiring and working with people, and unlock them. Exactly the type of market that gets overlooked by an incumbent."
"If the last couple waves of startups felt like 10x improvements, AI provides what feels like a 100x better experience than the incumbent substitute (humans!) by compressing what is almost always the significant effort of hiring and managing another person, into a near instant experience that will only get better over time. To do this at a small fraction of the cost of hiring/managing that human dramatically opens up limitless use cases and therefore dramatically expands the market. If people underestimated the size of Uber's market initially, we're all underestimating the size of many AI startups' opportunity.”
지금까지 본 AI 어플리케이션 투자 관점 중에서 가장 분명하다.
10x and cheaper in an AI world - Sarah Tavel
내가 얼마전에 작성한 ‘AI: 소프트웨어 개발을 넘어서, 새로운 회사를 만드는 기회’ 글에 아래와 같은 문장을 작성해놓았는데,
"여기서 잠시 아마존이 어떻게 월마트를 제치고 세상에서 가장 큰 유통회사가 될 수 있었는지 생각해보자. 월마트와 아마존은 공통적으로 물류센터를 통해 상품이 유통되지만, 월마트는 앞단에서 '마트'라는 형태를 통해 소비자와 마주하고, 반대로 아마존은 '온라인' 형태를 통해 소비자와 마주한다. 즉, 뒷단에서는 월마트와 아마존 모두 같은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앞단에서 '마트→온라인'으로의 전환을 이루어내면서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었고, 그만큼의 비용 세이브를 소비자에게 돌려줌으로써 완벽한 승리를 가져올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Sarah Tavel이 바라보는 AI 관점과 매우 유사한 것 같다. 그리고 다시 한번 이번 AI 시대에서도 결국 승자는 인터넷, 모바일의 승리 방정식과 크게 다를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
"In it I argued that to create a mass-market company, it wasn't enough to create a 10x better product than any substitute. The magic was creating a 10x better product while recasting the cost structure of providing that product or service in order to provide it cheaper to the consumer or business."
"To do this requires some kind of technology catalyst. This recipe was what was behind ecommerce (Amazon, Netflix), peer-to-peer marketplaces (Airbnb, Transferwise, Uber), or full-stack startups (WhatsApp)."
Looking for AI use-cases — Benedict Evans
소프트웨어에 전문적으로 투자하는 Vista Equity Partners를 만들어낸 로버트 스미스가 말하는 창업 계기는 아래와 같다.
"굿이어 타이어&리버 컴퍼니라는 회사를 지켜보면서 소프트웨어가 기업에 실제로 미치는 영향력이 정말 강력하다는 사실을 알게 됐죠. 사실 소프트웨어 기업들 자체가 효율적인 경영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주된 이유는 소프트웨어 회사를 차린 임원들 대부분이 직접 코드를 작성했거나 시장 기회를 읽어 코드를 판매한 마케터였기 때문입니다. 회사를 어떻게 경영해야 하는지 배운 사람이 아무도 없었던 거죠."
"어느날 저는 텍사스 휴스턴에 있는 이 작은 회사를 알게 됐습니다. 제가 본 회사 중 가장 효율적인 경영을 하는 곳이더군요. 기본적인 사항들이 정말 잘 지켜지고 있었습니다. 그들의 기본적인 규칙과 사례들이 다른 기업용 소프트웨어 회사에도 잘 적용될 수 있다면 회사의 경영 효율이 놀라운 수준으로 높아질 것이고, 그렇게 되면 거기서 엄청난 기업 가치들이 창출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꽤 기발한 아이디어였죠."
나는 LLM을 통해서도 같은 기회가 창출되어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물론 OpenAI는 ChaGPT의 슈퍼앱을 꿈꾸지만, 나는 유즈케이스별로 쪼개질 가능성이 더 크다고 믿고 있으며, 그래서 여러가지 어플리케이션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탄생할 것이고, 특히 워크플로우의 개선을 원하는 회사가 이러한 변화를 잘 이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있다.
"Hence, the cognitive dissonance of generative AI is that OpenAI or Anthropic say that we are very close to general-purpose autonomous agents that could handle many different complex multi-stage tasks, while at the same time there’s a ‘Cambrian Explosion’ of startups using OpenAI or Anthropic APIs to build single-purpose dedicated apps that aim at one problem and wrap it in hand-built UI, tooling and enterprise sales, much as a previous generation did with SQL.
"Back in 1982, my father had one electric drill, but since then tool companies have turned that into a whole constellation of battery-powered electric hole-makers. One upon a time every startup had SQL inside, but that wasn’t the product, and now every startup will have LLMs inside."
Robert F. Smith (Vista Equity Partners) Operating Manual · Colin Keeley
평범했던 흑인 개발자, 스타트업 500개를 사서 100조를 벌다 - EO
참고로 위에서 언급한 로버트 스미스는 대단하신 분인데 아직 한국엔 아는 사람이 많이 없는 느낌.
새로운 시대가 열릴 때 남들이 아직 보지 못하는 기회를 파고들어 큰 성공을 이뤄낸 대표적인 케이스.
어도비, 프리미어 프로에 적용될 생성형AI 혁신 선공개✨
어도비는 세상에서 AI를 가장 잘 적용하고 있는 회사들중 한곳이라고 생각한다. Sora가 등장하고 주가가 많이 내려왔지만, 영상에도 나온 것처럼 오히려 어도비는 Sora를 이용해서 더욱 강력한 프로덕트로 자리잡을 수 있다.
"While much of the early conversation about generative AI has focused on a competition among companies to produce the “best” AI model, Adobe sees a future in which thousands of specialized models emerge, each strong in their own niche."
Full Steam Ahead: The 2024 MAD (Machine Learning, AI & Data) Landscape - Matt Turck
Matt Turck의 2024 AI 맵. 아티클에 여러가지 주제에 관해서도 언급되어 있는데, 대부분 인프라단에 관련된 이야기임. 어플리케이션 관련해서는 AI-agent 정도를 언급.
Six-Month-Old AI Coding Startup Valued at $2 Billion by Founders Fund - The Information
결국 파운더스펀드가 Devin에 $175m 투자하며 $2b 밸류를 달성. 생긴지 일년도 안된 회사가 프로덕트 하나로 이정도의 투자를 받아낼 수 있다니, 피터 틸이 마크 저커버그한테 베팅한게 떠오를 수 밖에 없는 베팅이다.
Devin을 보니 이제 본격적으로 AI-agent 시대가 개막할 수도 있어보인다.
주요 AI 스타트업들의 ARR. AI 어플리케이션은 돈을 벌 수 있습니다.
Perplexity $7m, HeyGen $19m, Photoroom $50m
Hebbia $10m, Harvey $10m, Glean $39m
AI leads a service-as-software paradigm shift - Foundation Capital
결국 AI는 인간의 노동력을 대체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확률이 높아보이고, 그렇다면 AI가 우선적으로 가져갈 수 있는 기회의 사이즈는 해당 분야의 인건비일 수 있다.
업스테이지, 100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 유치… 누적 1400억원
B2B AI 스타트업 달파, 프리A 120억원 투자 유치
업스테이지 1000억원, 달파 120억원의 펀드레이징 성공. 국내에서도 AI로 계속해서 돈이 몰리고 있다.
업스테이지는 대기업들의 SI만 해도 수백억원의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서 투자가 집행된 것 같고, 달파는 AI 도입을 원하는 SMB 기업을 타겟하는 대표적인 플레이어라서 돈이 몰렸다고 생각한다. 즉, AI 도입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가장 적절한 솔루션을 제공해줄 수 있는 공급자들에게 투자금이 들어갔다.
당근이 실제 프로덕트에 LLM을 도입하는 이유와 과정을 공개했다. LLM을 자연어 처리, 어시스턴트, 글짓기에 활용. 당장 LLM 도입이 UX에 엄청난 개선을 불러오지는 않겠지만 그래도 유의미한 효과를 가져올 순 있을 것 같다.
#핀테크
Ramp raises another $150M co-led by Khosla and Founders Fund at a $7.65B valuation | TechCrunch
Ramp가 $150m 투자받으면서 $7.65b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22년 최고점 밸류인 $8.1b에서 23년에 $5.8b로 다운라운드가 있었지만, 다시 밸류가 돌아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Ramp 뿐만 아니라 작년에 핀테크 기업들의 밸류가 전반적으로 상당히 낮아졌었는데, 이제 슬슬 회복세로 돌아오는 모습이다.
Ramp는 Brex에 비해 후발 주자임에도 불구하고 거의 같은 레벨까지 올라온 기업이기 때문에 Brex vs Ramp 구도 관찰하는걸 아주 흥미롭게 바라보는 편인데, 이번에 핀포인트에서 이에 관해 자세한 리서치를 공개했다. 내가 평소에 가지고 있던 생각들과 동일하다.
"확실히 Brex는 빅테크와 기술 분야에 고객이 치우쳐져 있고, Ramp는 비교적 더 다양한 유형의 고객들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Brex와 Ramp의 출생지에서부터 시작된 것이기도 하다. Brex는 애초에 캘리포니아 실리콘밸리 태생의 회사이고, Ramp는 뉴욕 태생이다. 처음 영업을 뛸 수 있었던 고객들의 풀이 많이 달랐을 것이다." → 시장 측면에서 Ramp가 더 확장 가능성이 크다
"Ramp는 더 적은 수의 고객 그리고 더 적은 양의 TPV에도 불구하고 Brex와 맞먹는 규모의 매출을 발생시켰다. 그 과정에서 고용한 직원 수는 더 적다." → 매출의 퀄리티가 Ramp가 더 좋다. 게다가 Ramp는 순수하게 결제 수수료 매출로만 가지고 여러가지 서비스를 통해 매출을 발생시키는 Brex 만큼 성장했다.
"Brex는 머릿수로는 Ramp의 2배, 비율로는 Ramp의 1.5배가 되는 개발 조직을 보유하고 있다. Ramp가 전체 직원수는 Brex에 비해 적은 것에 반해 영업+마케팅 조직의 크기와 비율은 Brex보다 높다." → 엔지니어링 스킬이 Ramp가 더 뛰어나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Brex 보단 Ramp가 앞서갈 확률이 더 높아보인다. 계속해서 이야기했지만 2등도 잘하면 1등이 될 수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 사례가 되지 않을까 싶다.
Exclusivo: Nubank deve lançar operadora própria de celular – Tecnoblog
누뱅크가 핀테크 다음 사업으로 통신사를 준비하고 있나보다. 은행에 이어서 통신사까지 먹으면 라이센스 비즈니스 최강자가 되겠네. 토스가 신사업으로 알뜰폰을 고른 것과 겹치는 부분도 있어서 같이 관찰해보면 흥미로울듯.
그동안 아름다운 성장을 보여준 누뱅크. 이걸로 $50b까지는 왔는데, 시가총액 $100b가려면 지역 확장 외에도 새로운 한발이 필요한 것 같긴 하다.
#커머스
“쿠팡에 완전 당했다” 잘 나가던 요기요, 충격의 ‘몰락’ - 헤럴드경제
쿠팡은 정말 무섭도록 잘하는 회사다.
얼마전부터 쿠팡이츠 무료배달 시작하는 순간부터 배달의민족 쓸 일이 엄청 줄어들었는데, 이 비용 상승하는걸 로켓맴버십 가격 인상으로 커버칠 줄은 생각 못했다. 그 누구도 쿠팡을 쉽게 상대하기 어렵다는걸 보여준 사건이라고 생각했다.
"쿠팡이 유료 회비를 올리면서 무료 배달로 인한 부담은 배달의민족과 요기요만 더 커지게 됐다."
"쿠팡이츠 운영사 쿠팡은 지난해 6000억원대 영업이익을 올렸다. 쿠팡 유료 회원은 지난해 말 기준 1400만 명 정도로 1년 새 27%나 늘었다. 이번 인상으로 쿠팡은 연간 5000억 원의 수익을 더 올릴 것으로 보인다."
[단독] 쿠팡플레이, 英 프리미어리그 2025·26시즌부터 6년 독점 중계권 따내 - 조선비즈
이어서 쿠팡이 EPL 중계권을 1년에 700억으로 6년 계약했다는 뉴스가 나왔다. 스포츠 중계는 아직 쿠팡에 바인딩 되지 않은 남성들을 쿠팡 와우 멤버십 가입시키기 가장 좋은 전략 중 하나라고 생각하는데, 이들까지 쿠팡 멤버십으로 묶어버린다면 더이상 한국에서 쿠팡을 이길 자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항공
최근 지각변동이 일어나는 국내 항공업계 - DogDrip.Net 개드립
대한항공이 아시아나 인수를 진행하게 되면서 국내 항공업계의 판도가 크게 바뀌고 있다. 아시아나의 빈자리를 LCC 업체들이 채워나가지 않을까 싶은데, 특히 이번에 아시아나 화물 사업부를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서 업계 판도가 크게 달라질 것 같다.
[단독] 아시아나 화물 인수전에 제주항공 빠졌다…MBK 손잡은 에어프레미아 다크호스로 [시그널]
[단독]아시아나항공 화물 인수 승부수···에어프레미아 최대주주 바뀐다[시그널]
아직 결과는 모르지만 마지막에 탄탄한 FI가 붙은 에어프레미아가 아시아나 화물 인수에 가장 가까운 상태라고 보여진다. MBK의 CB 투자 + JC파트너스 & 파빌리온PE Co-GP 투자로 상대적으로 큰 금액을 베팅한 것으로 보인다. 올해 뉴욕에 갈 때 에어프레미아 타보니 상당히 만족스러웠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많이 응원하고 있다.
#금융
How Josh Kushner became a billionaire startup investor before age 40 - Fortune
OpenAI에 풀베팅했고, 얼마전엔 LIFE 잡지도 인수한 Thrive Capital를 이끄는 Joshua Kushner. 나에게 엄청난 영감을 주었다.
특히 아래의 OpenAI 사태 당시 일화를 보면서 멋진 투자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로 아래 나오는 Lightcap은 OpenAI의 COO
“Josh’s priority was not to sort through anything related to the investment or Thrive,” Lightcap says of the call. “It was, ‘How are you? How’s the company? I’m here for you, I support you guys. What can I do to help?’”
When the crisis was over, with Altman back in the CEO chair and the employee tender back on track, Kushner’s support still left a strong impression on Lightcap. “It can be weirdly lonely not having anyone to talk to,” he says. “To have moments to say, ‘Am I even thinking about this the right way?’—he became a support system for me.”
“Josh makes high-conviction bets on high-quality companies and founders, and he doesn’t care too much about what other investors think. I feel a lot of camaraderie with that.” - Sam Altman
인스타그램 투자 스토리. 엄청난 베팅 후에 행운까지 찾아왔네.
Still, it was the start of a friendship Kushner would nurture. He checked in frequently to offer product ideas, holiday gifts of whiskey, and impromptu dinners (for which he would book same-day cross-country trips from New York). Systrom valued Kushner’s advice—which became vital when, a year later, he found himself running the hottest company in San Francisco and wondering who he could trust.
Kushner was offered an $11.5 million allocation, which would have been about 30% of his fund, a risky amount to invest in one company. He invested $3.5 million from Thrive, then quickly set up a “special purpose vehicle” (SPV)—a one-deal-only fund that could include investors other than Thrive’s LPs—to raise the other $8 million.
Just a few days after Kushner wired the money, Instagram sold to Facebook for $1 billion.
Spark Capital 홈페이지 구경하다가 본 문장인데 너무 멋져서 기록해본다.
"WE KNOW: there are no playbooks or rulebooks or formulas. Your culture is your company. It’s not about us. Nobody runs your company like you. Listening works. We have our own style. Products can make markets. Pattern-matching is for non-believers. Pitch decks aren’t everything. There’s no single right way to do this, but there are some pretty wrong ones."
"WE INVEST: in products we love, people, crazy, dreams, design, brains, reality, unreality, reinvention, new markets, weird stuff, guts, independence, hustle, distinction, art, action, humanness, idealists, oddities, optimism, communities, creation, surprises, technologists with the heart of an artist, each other."
"WE LOVE: this job. Not following the herd. Committing. Having our minds blown. Details and precision. Products—and actually using them. Swimming upstream. To prove the exceptions. Winning your way. The Absolute. Form. Rhizomes. Function. The ups and downs and twists and turns of the decade-long journey."
"WE ARE: here to do this with you."
개인적으로는 투자자보단 주로 경영자 관점에서 해당 비즈니스 모델(연쇄 인수 모델)을 바라봐왔기 때문에 아래 생각을 해본적이 없는데, 맞는 말인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버핏이 인수하고 난지 얼마 지나지 않은 버크셔에 투자하는 것이 과연 가능했을까? 그리고 합리적이었을까? 버핏이라는 사람에 투자하는게 아니었다면 버크셔는 사실상 투자하기 어려운 회사였다고 생각한다.
"연쇄 인수 모델에 대해 읽고, 듣고, 공부한 후 느끼게 된 것은 사실 연쇄 인수 모델이 투자하는데 있어서 곤란한 비즈니스 모델일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내린 개인적인 결론은 연쇄 인수 기업에 대한 투자는 사실상 전적으로 경영진에 대한 투자라는 것입니다. 경영진이 지속적으로 훌륭한 자본배분 결정을 통해 현명한 인수를 통해 성장해나갈 것을 믿고 돈을 맡기는 것에 가깝습니다."
일본 서치펀드, ‘후계자난’ 겪는 산업계에 ‘젊은 피’ 수혈해 [글로벌 현장] - 한경비즈니스
서치펀드라고 불리우는 이 모델은 미국의 Alpine Investors의 모델하고 비슷한 것 같다. 이 모델이 일본에 특히 잘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고, 한국에서도 같은 기회가 올 것 같다.
"서치펀드는 2년간 인수 대상을 탐색해서 인수한 기업을 4년간 운영해 경영성과를 배분한다. 인수 규모는 대략 5억~15억 엔(약 45억~134억원) 규모다. 2년 안에 인수 대상을 찾지 못하면 도전은 그것으로 끝난다."
"일본이 서치펀드를 주목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중소기업의 후계자난을 해소할 수 있는 기대주여서다. 2025년이면 일본 중소기업 245만 곳은 평균적인 은퇴 연령인 70세를 넘은 사장들이 경영한다. 이 가운데 127만 곳은 후계자를 구하지 못한 것으로 추산된다."
"캐릭터 상품을 기획·판매하는 기업 아레스컴퍼니(지바현 마쓰도시)의 사장 오토미 료는 1993년생으로 올해 31세다. 아레스컴퍼니는 오토미 사장이 6살 때인 1999년 설립됐으니 그가 창업자일 리는 없다. 부친의 가업을 물려받은 것도 아니다.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새로 인수한 기업에 파견한 펀드매니저도 아니다. 아레스는 오토미 사장이 2년간 잘 경영할 수 있을 것 같은 기업을 고른 끝에 2022년 수억 엔(수십억원)을 주고 인수한 회사다. 재벌 2·3세가 아닌 그가 그만한 돈이 있을 리 없다. 그래서 자신을 사장이 될 만한 인재라고 평가해 준 투자수단으로부터 인수자금을 빌려서 사장이 됐다."
#투자
윌리엄 손다이크 - 현금의 재발견(The Outsiders) - WJK
[리뷰] 윌리엄 손다이크, 장기 보유의 힘 - 제너럴폭스
현금의 재발견(The outsiders)는 보일 때마다 반복해서 읽어보면 좋을 책이라고 생각한다. 아래는 최근에 이 책을 다시 읽으면서 메모한 문장들
CEO가 얼마나 뛰어난지를 드러내는 최종 지표는 매출액, 이익, 직원 숫자 성장률이 아니라, 기업의 주당 가치 성장률이 되어야 한다.
CEO로 성공하려면 두 가지를 잘해야 한다. 하나는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하나는 그 결과 들어오는 현금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것.
장기적으로 가치를 창출하는 핵심요인은 잉여현금흐름 최적화
공통점: 그들은 매우 분권화된 조직을 운영했으며, 한 번 이상 대규모 기압 인수에 나섰다. 또 현금흐름에 기초한 특별한 지표를 개발했다. 자사주도 꽤 많이 매입했다. 주주에게 의미 있는 수준의 배당을 준 CEO도 없었고, 월스트리트에 실적 예상치를 제공하지도 않았다.
뛰어난 COO는 운영 부문을 꼼꼼히 살펴서 파트너인 CEO가 장기 전략과 자본 배분 사안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재탄생》 출간했습니다! - 제너럴폭스
‘버크셔 해서웨이의 재탄생’은 버핏을 좋아하는 투자자라면 무조건 읽어봐야하는 책이다. 처음 펼쳤을 때 숫자가 많아서 오래걸리겠네 싶었지만, 읽다보니 너무 재밌어서 하루만에 다 읽어버렸다. 느낀점을 간단하게 적어보면,
진정한 자본배분이란 이런 것이다!
특히 보험사 통해서 플로트 이용한게 어떤 의미인지 구체적으로 느껴볼 수 있음
버크셔는 버핏이 경영한 직후부터는 사실상 금융 지주였구나. 보험과 은행이 핵심이었음
여러 인수/투자건들을 보다보면 버핏의 능력범위가 어떻게 형성되어가는지 느껴짐
가이코 투자건은 어떤 관점에서는 굉장한 베팅이었는데, 이 책 읽다보면 왜 할 수 있었는지 조금은 이해됨
내가 버크셔에 대해 아는게 거의 없었구나 깨달았고, 이제부터라도 공부를 많이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관련해서 이 책을 번역해주신 제너럴폭스님이 운영하는 ‘버크셔 리서치 클럽’에도 참여중인데, 과제로 받은 질문&답변 하나를 남겨본다.
자본비용과 자본이익률 차원에서, 버핏의 투자에서 ‘플로트’가 그렇게 중요하다는 것은 어떤 맥락일까요?
저는 남의 돈을 가지고 투자할 수 있다는 부분, 다르게 표현하면 레버리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금융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해당 관점에서 버핏이 버크셔 시절 이전에 버핏 파트너십 펀드로 돈을 벌 수 있었던 이유는 실력이 뛰어나서인 것도 있지만, 남의 돈(LP)을 굴려서인 점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게다가 남의 돈을 '빌린'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이자를 낼 필요도 없었죠.
어찌저찌해서 버크셔의 경영자가 되어버린 버핏은 고민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정말로 이 회사의 에셋만 가지고 투자를 해야하는걸까? LP를 대체할만한 것은 없을까? 그러다가 보험사의 플로트가 회사를 경영하는 입장에서 활용하기 가장 좋은 레버리지 수단이라는 것을 발견해버렸네요. 보험사는 돈을 잃지만 않을 수 있다면 이자를 낼 필요 없이 (그리고 사실 오히려 이자를 받아가면서) 사용할 수 있는 남의 돈이 있었습니다.
게다가 보험사가 사업을 잘하면 계속해서 LP가 늘어나는 구조이니, 금융투자회사를 경영하는 사람 입장에서 이보다 더 좋은 자금출처가 또 있을까 싶습니다.
내셔널 인뎀너티를 인수하기 위해 장기 회사채를 발행한 버크셔 사례를 볼 때, 부채가 반드시 나쁜 것일까요? 판단 기준은 무엇일까요? 그런데도 버핏이 (영업 및 재무) 레버리지를 대부분 낮게 유지하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요?
금융은 신뢰 비즈니스고, 남의 돈을 잃으면 신뢰를 잃을 수 밖에 없습니다.
#마지막으로
울림을 주는 첫 순간 - 넷플릭스 <더 글로리> 김은숙 작가
진짜 열심히 사시는게 인터뷰에서 고스란히 느껴졌다. 영감이 되는 김은숙 작가님 인터뷰.
“당연히 재능이 있으면 좋겠죠. 제일 이해 안 될 때가 한 20대 중반, 30대 초반 친구들이 ‘저는 재능이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라고 할 때예요. 그럼 재능이 없는 거예요. 재능이 있으면 모를 수가 없어요. 어떻게든 재능이 비집고 나와요. 주변에서 다 알아보고요. 너는 글을 잘 써, 너는 노래를 잘해, 달리기를 잘해. 그렇게 백번 넘게 들어봤어야 합니다. 한 번도 못 들어봤는데 혼자 몰래 글을 쓰고 싶었다? 그럼 재능이 없는 거예요. 빨리 그만둬야 합니다. (그런데 애매한 재능도 있잖아요?) 그럼 제가 하는 방법을 써야 해요. 엄청나게 노력해야죠.”
“웬만해서 집 밖에 잘 나가지 않고, 세상의 트렌드는 영상으로 봐요. 지상파, 종편, 케이블, OTT 할 것 없이 드라마는 다 봅니다. 정속으로요. 드라마가 재미있으면 팬심으로 보고요, 보던 드라마가 재미없어져도 다 봐요. 그럴 때 훨씬 더 많이 배우는걸요.”
“성공했다고 고비가 없는 게 아니라니까요. 매 순간이 힘들어요. 이전 작품이 성공해도 저는 매번 다음 작품으로 제 실력을 인정받아야 했어요. 행운이다, 요행이다, 이런 시각도 있었고요. 더 크게 성공해야 내 실력을 인정해 줄까, 매번 저를 증명해 내려고 아등바등했어요. 떠밀린 것도 있는 것 같고, 떠안은 것도 있는 것 같고, 저에 대한 평가가 유난히 박한 것도 있는 것 같고, 억울할 때도 있는 것 같고··· 그러니 오전에 좋았다가 오후에 울고 그런다니까요. 다들 부러워하시는 것도 알고, 무슨 걱정이냐 하실 것도 알죠. 저 스스로 만족은 있지만 그게 오래가진 않는 것 같아요.”
“그냥 책상과 의자에 묶여있어요. 하루도 그 자리에 앉지 않은 날이 없어요. 욕심이 있어서 그럴 수 있어요. 왕관의 무게를 물어보셨죠? 계속 왕관을 쓰고 싶으니까요.”
“저는 사실 운이 좋았어요. 작정하고 쓰기 시작한 지 3개월 만에 첫 작품이 나왔고, 그 후로는 제가 하고 싶을 때 했으니까요. 그럴 수 있었던 이유가 뭘까 생각해 보면 각색이 아닌 오리지널을 썼기 때문이 아닐까 싶어요. 요즘 웹툰이나 웹소설 기반의 각색 드라마를 많이 하는데, 당장은 달콤하겠지만 저는 시작부터 자기 것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첫 단추가 되게 중요한데, 각색을 하게 되면 자기 작품을 더 못 쓰게 됩니다. 자기 것 쓰는 거, 당연히 힘들죠. 게다가 원작 핑계를 댈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방패겠어요. 그렇지만 잘되면 원작이 탄탄했다 하고, 못되면 각색 작가가 욕을 다 먹어요. 좀 힘들더라도 내 것을 연구해서 내 색깔이 분명한 내 작품을 내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