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BI #61_NFT Canon 중 Creator DAOs, Creator Economies
안녕하세요! 다들 좋은 연휴 되셨나요 ㅎㅎ
이번주에는 제가 스터디한 내용을 공유드렬려고 합니다. a16z가 발행한 NFT Canon을 각자 맡아서 정리하는게 주제였는데, 제가 맡은 Creator DAOs, Creator Economies; Funding Innovation 부분을 공유합니다.
모두 이번주도 화이팅입니다 :D
#Now
single-player tool(likes, comments, follows) → wherever the creator goes, the audience and attention follows(so, attracting top creators)
It's hard to make a sustainable living unless you're a top creator
Creator payouts are determined by opaque processes
Content and social graphs are rarely portable across platforms
현재는 좋아요, 댓글, 팔로우로 이루어진 생태계
→ 탑 크리에이터가 아니면 지속가능하기 어렵고, 번 돈을 지급받는 과정이 불분명하고, 한 플랫폼에 남겨진 콘텐츠는 이동이 힘들다.
(나): 현재의 플랫폼들은 사실 돈을 버는게 그렇게 쉬운 구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 페이스북.트위터에서 유명해져봤자 광고 받는거 무척이나 힘들고, 인스타는 사진 기반이라 조금씩은 들어오겠지만 이것도 정해진건 없고, 그나마 유튜브가 조회수 만큼 광고비를 지급 받고 있는데 이것마져도 사실 유튜브가 많은 부분을 떼어가는게 사실이고, 진짜로 돈 버는 사람들은 따로 광고 받는 사람들이다.
결국 이런 서비스에 콘텐츠를 제공하는 사람들이 돈을 벌긴 쉽지 않다는 소리인데, 오늘의 주제는 크립토가 이 사람들(크리에이터)에게 돈벌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줄 수 있다는 이야기다.
그렇다면 왜 지금까지는 그런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으며, 왜 크립토는 이것을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일까?
크리에이터를 위한 인프라는 계속해서 발전 중이다
유튜브와 인스타, 틱톡이 대표적, 최근에는 뉴스레터 플랫폼 서브스택 등이 크게 발달
이에 따라서 유틸리티 도구도 발달: 구독자 관리 툴 Stir, 자신의 링크들을 관리하는 툴 Linktree, 후원 쉽게 받을 수 있는 툴, 자신의 수입을 관리할 수 있는 툴 Juice, 자신 채널의 가치를 측정 가능한 툴 Juicetimate 등등
소결론: 크리에이터를 키워내는 플랫폼과 이를 돕는 도구들이 계속해서 발달 → 크리에이터 생태계는 계속해서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금의 크리에이터 생태계는 너무 플랫폼에 집중되어 있다 → 이 주권을 크리에이터로 가져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고, 그 기반엔 크립토 이코노미가 있다.
#What is Crypto Economy?
아직 구체화된 것이라 아니라서 각 글마다 설명이 다 다른데, 하나씩 살펴보고 어떤 내용이 공통적으로 등장하는지 살펴봅시다.
1) Owned by the community, Governed by the community, Open source, Global from day one, Secured through distributed consensus, cryptography, and public / private key pairs
커뮤니티에 의해 소유되고 통치되는 경제. 크립토와 커뮤니티가 떼어질 수 없는 이유는 크립토는 개개인의 참여로 돌아가는 시스템이기 때문이다. 또한 오픈소스로 돌아가고, 글로벌한 커뮤니티라는 특성을 가진다.
2) Creator-focused protocols will have community-led decision committees, native protocol tokens for governance, value capture, and utility, decentralized grant programs, universal creator income, an open developer ecosystem, pseudonymous collectives, degen investment clubs, protocol politicians, and more.
구체적으로 크리에이터 기반의 프로토콜 경제는 커뮤니티가 이끄는 의사결정, 거버넌스를 위한 토큰, 탈중앙화 분배 프로그램, UCI, 오픈 개발자 생태계 등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3) come for the creator, but stay for the economy.
(Instead of "come for the creator, stay for the network")
기존에는 페이스북처럼 네트워크를 위해 남아있었다면, 크립토 이코노미 아래에서는 경제적 이익을 위해 남아있게 된다.
4) Put another way, in order to engage as many people as possible as deeply as possible, Creator DAOs intertwine two kinds of motivations that are usually seen as far apart: social and financial.
Social & Financial → 마찬가지로 Financial을 강조
5) Cryptocurrency is powerful because it lets us summon up large pools of capital by collective economic will, and these pools of capital are, at the beginning, not controlled by any person. Rather, these pools of capital are controlled directly by concepts of legitimacy.
이러한 경제가 가능한 이유는 블록체인의 특성 때문인데, '누구냐'와 관계 없이 '합리성'에 의해 좌우되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from 비탈릭 뷰테린)
6) But these examples are just the beginning. As a protocol evolves, there is a sense of responsibility from participating token holders to maintain and evolve the ecosystem being built around it. Like early civilization, there is both a proactive and reactive investment to foster the “city” in order to strengthen its infrastructure, accessibility and desirability. As token holders are owners of the protocol and are incentivized to have it succeed, the role of tokens moves from transactional (i sell for profit) to wealth (i hold for proprietary rights). And this mechanism drives development that welcomes more residents as well as tourists to visit and partake in the civilization’s developments and culture. If the meme is the message, then a protocols’ greatest moat and differentiator may very well end up being the culture it spawned around it.
We may be seeing the beginnings of this kind of culture formation in crypto. In fact, it may be even turbocharged, as crypto enables the financialization of social and communal activity in a manner never before seen. This makes clear the need and role for ambitious and thoughtful cultural governance now that creative structures, businesses and behaviors are being built on top of the protocol’s foundation. As proverbial neighborhoods sprout up, subcultures will be built in reaction to the constructs and its visitors and identity will evolve. In doing so, this activity will begin to invite criticism of how or what is built, by those most deeply invested in the protocol and the community it’s fostered. There will be disagreements. There will be overly kitsch and propagandistic creation. But in the end, the protocols that can produce the most meaningful and lasting communities, in large part through content and cultural creation, will be the most lasting, wealthiest and important. In crypto, soft power is everything.
크립토 이코노미는 마치 문명과 같다. 토큰 홀더들은 프로토콜의 소유자이고 프로토콜이 성장할수록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따라서 거래에서 얻는 이익에서 부를 키워내는 방향으로 흘러가게 된다. 이게 계속해서 커지면서 큰 해자를 만들어내고, 결국은 커뮤니티가 가장 중요하다는 이야기.
7) “One lesson that I’ve taken from running Facebook over the last five years is that I used to think about our job as building products that people love to use. But you know, now I think we just need to have a more holistic view of this. It’s not enough to just build something that people like to use. It has to create opportunity and broadly be a positive thing for society in terms of economic opportunity, in terms of being something that, socially, everyone can participate in, that it can be inclusive…. This isn’t just a product that we’re building. It needs to be an ecosystem. So the creators who we work with, the developers, they all need to be able to not only sustain themselves, but hire a lot of folks.”
저커버그 형님께서 메타버스 이야기하면서 언급한 내용인데, 프로덕트를 단순히 사람들이 사용하는데 그쳐서는 안되고 경제적 기회를 만들어낼 수 있어야 한다는걸 언급. 크립토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진 않았지만 결국 비슷한 흐름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걸 이야기.
8) I am not saying NFTs are the next big thing. I am saying that consumer experiences built on a crypto stack are the next big thing. I am saying that NFT experiences are showing the way. They are the left tackle that you can run behind into the opening. Where enormous opportunity exists.
크립토 위에 설계된 사용자 경험이 중요한 것이다. 단순히 NFT가 Next Big Thing인 것이 아니라.
9) The things that move culture—film, music, books, art, writing—have historically been fairly illiquid.
Today, we talk about non-fungible tokens, or NFTs. In the long-run, we’ll instead say “cryptomedia” or “digital assets”.
크립토로 문화를 유동화 시킬 수 있게 되었다. Woodbury는 이를 두고 NFT 대신 크립토미디어, 디지털자산으로 부르게 될 것이라고 언급한다.
10) Uniquely, fans can’t buy $RAC; they can only earn it.
holding $RAC gives fans access to a private Discord server, as well as early access to future merch drops.
It’s easy to imagine $BILLIE or $DRAKE or $BEYONCE coming next. If I’m in the top 1% of Billie Eilish listeners on Spotify, how much $BILLIE is that worth? And does it get me better seats at her concert?
Cryptomedia and digital assets aren’t exclusive to music; they’ll rearchitect all cultural industries. Many of us were taught that because something is digital, it has no value. We were conditioned by the early internet to assume that everything online is free. But digital creations do have value; the system is just set up so that we don’t see it.
Access: NFTs can be used as access tokens to physical and virtual locations or events. Programmable tickets can be updated or come attached to a game or some other item. NFTs are currently being used as subscriptions to different paywalled media websites, but I think this concept will carry over into virtual worlds where users will need to use access tokens to enter certain spaces.
크립토는 단순히 시세 차익을 얻는 것 뿐만아니라, 유틸리티 토큰으로 작동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다. 예를 들어 토큰을 보유하고 있으면 디지털파티에 참여할 수 있다던지.
11) The third piece, monetization, is the piece in its earliest innings. The people who drive culture are still relying on sponsorships and brand deals and a cut of ad revenue. The big platforms are belatedly waking up to the reality that creators are the lifeblood of the internet, but it’s too little and too late.
지금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핵심은 Monetization. 빅 플랫폼이 가져가던 이익을 크리에이터에게로 돌려주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12) Just to synthesise some of the points from above. In designing transactional communities of social tokens users, it’s important to keep in mind that token schemes are powerful not just because of financial incentives, but also because of social incentives. The token scheme can generate status: think of Discord roles, special reaction emoji, access to certain parts of the server and so on.
반대로 경제적 인센티브 만큼이나 소셜적인 인센티브도 중요하다는걸 언급한 글도 존재.
13) 파일을 더 많이 공유하고 온라인에서 볼수록 더 많은 문화적 가치가 발생합니다. 워홀 이미지의 포스터와 티셔츠의 대량 생산을 고려하십시오. 악명이 높아짐에 따라 정경 저작물을 소유한다는 개념은 더욱 흥미진진해지고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지표가 됩니다. 또한 작품을 구입한 후 평판이 높아지면 재판매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NFT를 사용하면 수집가가 실제 예술 작품을 소유하는 것의 대부분의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컬렉션을 제한 없이 인터넷을 통해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으므로 더 많은 가치를 얻을 수 있습니다.
NFT가 더 많이 거래될수록, 이용될수록 가치는 더 높아진다. 유틸리티 토큰이 유리한 이유.
14) 나아가 2차 거래에 따른 수수료의 일부가 작가에게 항상 배분되기 때문에 작가가 적극적으로 자신의 과거 작품을 소유한 이들과도 관계적 내러티브를 만들어 갈 인센티브가 부여된다는 점은 놀라운 변화다. 이러한 가능성은 디지털 아트가 전통적인 예술품 시장과는 전혀 다른 역동적인 팬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작가와 컬렉터들은 디지털 플랫폼에서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커뮤니티와 작품의 가치를 동시에 키워 나갈 수 있다.
토큰을 소유한 사람들과 계속해서 관계를 만들어가는 구조를 만들 수 있다. 또다시 유틸리티 토큰이 유리한 이유.
15) Put simply, our primary objective in governance is to create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protocols to achieve long-term adoption and self-sustainability.
Delegated Voting
Protocol Grant Programs
Early Adopter Rewards
Examples include the early users and liquidity providers on Uniswap and the early developers who built applications on top of Compound.
크립토 경제를 지속 가능하게 만드려면 위 요소들이 필요. 특히 초기 유저에게 리워드를 줘야한다는 3번이 인상깊은게, 그만큼 빨리 이 생태계에 참여한 사람들이 가져가는 것이 많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니까.
소결론: 비슷한 말이 반복되고 있다. 생태계에 참여한 자들에게 경제적인 인센티브를 줄 수 있는 구조와, 이를 지속가능하게 만드는 커뮤니티가 조성되어야 한다는 것.
(참고로 비트코인이 자리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생태계에 참여한 사람(채굴자)에게 비트코인이라는 경제적 인센티브를 지급하였기 때문이고, 이더리움이 자리잡을수 있었던 이유는 스마트 컨트렉트로 새로운 사람들을 유입시켰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결국은 오너십 이코노미 아닐까요?
The Ownership Economy: Crypto & The Next Frontier of Consumer Software - Variant
One of the most stunning things about the technology we consume everyday is the degree to which it is built, operated and even funded by its users.
As the role of the individual in value creation becomes more commonplace, the next evolutionary step is towards software that is not only built, operated, and funded by individual users—but owned by users too.
Ownership is a powerful motivator for users to contribute to products in deeper ways, be it with ideas, computing resources, code, or community building. This more cooperative economic model helps ensure better alignment with users over time, resulting in platforms that can be larger, more resilient, and more innovative. This is the Ownership Economy, and beyond being a positive social endeavor, the platforms building it are able to leverage the strongest form of market incentives to grow network effects.
Rather than a platform’s inner circle of founders and investors taking home the value, users are able to earn the majority of value generated from their collective contributions.
자신이 서비스에 기여한 만큼 지분을 가져가는 시스템을 크립토를 통해 구축가능하다.
How next-generation platforms are driving an ownership economy
The ownership economy doesn’t always mean a literal distribution of tokens, stock options, or equity. It also doesn’t necessarily mean that an application or service is entirely built on a blockchain. Rather, it means that ownership can be a new keystone of user experiences, with plenty of design space to explore.
그리고 이 오너십이 사용자경험의 핵심이 될 수 있다 → 단순히 보유한다고 가치를 지니는게 아닌, 실제로 액션을 취할 수 있다는 뜻.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좋은 아이디어에 투표한다던지 등.
(나) 주식회사가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기 시작한건 19세기 중반으로, 어떻게보면 주식회사는 생각보다 오래되지 않은 최신의 형태입니다. 시대가 흐르면 새로운 형태의 경제 시스템이 나오기 마련인데, 주식회사 다음으로 크립토를 기반으로한 오너십 이코노미가 주식회사 만큼이나 대중화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핵심은 커뮤니티, 그리고 DAO
이 주제를 설명하면서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라는 개념이 빠질 수 없습니다. 단어 그대로 탈중앙화된 자율(자치) 조직이라는 뜻인데요. 기존 시스템은 조직을 대표하는 사람이 있었다면, 이 크립토 시스템에선 그런 사람 없이 정말 개개인들의 참여로 조직이 운영됩니다.
(나) 어떻게보면 크립토는 극단적인 민주주의의 형태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우리 시스템의 주권은 토큰 소유자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토근 소유자로부터 나온다'. 그런데 이걸 알고리즘으로 강제해버리기.
investors in The DAO would be able to vote on proposals based on pre-set rules, established in smart contracts.
DAO는 크립토가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는 알고리즘이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The DAO is a paradigm shift in the very idea of economic organization. It offers complete transparency, total shareholder control, unprecedented flexibility and autonomous governance.”
덕분에 완전한 투명성, 완전히 주주에 의한 컨트롤이 가능, 전례 없는 유연성 및 자율 거버넌스를 제공합니다
A DAO is “decentralized” in that it runs on a blockchain and gives decision-making power to stakeholders instead of executives or board members, and “autonomous” in that it uses smart contracts, which are essentially applications or programs that run on a publicly accessible blockchain and trigger an action if certain conditions are met, without the need for human intervention.
주식회사와 DAO의 차이점이라면 이사회가 존재한다/존재하지 않는다로 볼 수 있겠습니다. 진짜 개개인의 참여가 중요시되는 시스템이에요. 개인이 누구든지에 상관 없이요.
More simply, DAOs are a new way to finance projects, govern communities, and share value. Instead of a top-down hierarchical structure, they use Web3 technology and rapidly evolving governance and incentive systems to distribute decision-making authority and financial rewards. Typically, they do that by issuing tokens based on participation, contribution, and investment. Token holders then have the ability to submit proposals, vote, and share in the upside.
일반적으로 참여, 기여, 투자를 바탕으로 토큰을 발행합니다. 그러면 토큰 보유자는 제안서를 제출하고, 투표하고, 반대 의견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One of the beautiful things about decentralized protocols is that their code, smart contracts, and transaction histories are out in the open for anyone to see, audit, and even copy.
크립토는 새로운 프로토콜 시스템입니다.
A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DAO) is a group organized around a mission that coordinates through a shared set of rules enforced on a blockchain.
기존에는 회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가 발전, 하지만 DAO를 구축하면 투표를 통해 사람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서비스가 발전함. 블록체인을 통해 중간에 끼는 존재가 없어지는 것.
A DAO's assets can be controlled by stakeholders directly via a token.
DAO를 구축하기 위해선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함. 이 토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좋은 아이디어에 투표할 수 있는 시스템.
실제 평판과는 무관하게 투표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말로 좋은 아이디어가 채택될 수 있는 시스템.
We called this theoretical format a ‘Creator DAO.’ In this paradigm, a team or community interested in making something would implement a smart contract according to which tokens in the project would be granted to contributors, customers or investors, in return for their labor or money.
더 나아가서 Creator DAO를 구축해서 토큰을 기여자, 사용자, 투자자에게 돌려줄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함 (앞서 말한 크립토 이코노미)
But the main difference that a Creator DAO provides is the notion of ownership. You are not simply supporting a project. Through the token, you possess a piece of it. And, within the rules of its smart contract, are free to use the token as you want. You can sell it, stake it, fractionalize it, include it in an index, take advantage of all of the liquidity-enhancing mechanisms DeFi enables. In other words, with a CreatorDAO, in addition to wanting to help people make stuff because you like the stuff they’ll make, you get financial incentives. You are an investor. A true owner.
이는 단순히 프로젝트를 서포팅하는 개념을 넘어서서 '오너쉽'을 가진다는 점이 근본적인 차이점.
Potential issues
in some cases there are no legal protections outside of the rules outlined by the smart contracts facilitating the DAO.
it might be more difficult to coordinate and move quickly compared to centralized leadership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voter apathy where not all members will want to vote or are even best qualified to vote on all changes.
Another issue is that by having the membership be so open, it is possible that it could lead to lower quality and higher noise within the DAO
당연히 새로운 시스템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검증이 되진 않았고, 위와 같은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음 (법적 보호가 없다, 속도가 느릴 수 있다, 유권자의 무관심, 퀄리티가 낮아질 수 있다)
아래는 실제로 커뮤니티가 작동하는 방식 예시
크립토펀드가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투자 피칭을 한다고? Feat. 스시스왑 - 디스프레드
스시스왑에서 VC에제 전략적 투자를 받으려고 함 → 이를 공지
하지만 스시스왑 커뮤니티는 이번 전략적 투자에서 VC를 위한 토큰 할인이 적용된 부분에 대해 크게 반대했습니다. 커뮤니티가 반대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지나치게 큰 규모의 라운드 투자 금액
적절하지 않은 토큰 가격 할인율
짧은 토큰 언락 일정
21개의 너무 많은 전략 투자사
전략적 투자의 의미와 장점
지금과 같은 상황에서 추가 투자를 유치하는 이유
이에 대해 Lightspeed, Pantera, Spartan, Paradigm, Defiance 등 많은 크립토펀드들이 의견을 밝혔습니다.
커뮤니티와 크립토펀드들의 긴 논의가 있었으며 0xMaki는 커뮤니티의 의견을 받기 위해 투표를 진행했습니다.
약 2주간의 긴 논의 끝에 스시스왑의 개발자 OmakaseBar가 커뮤니티의 의견을 종합해 수정된 투자 제안서를 공개했습니다.
총 투자 목표 금액: 2000만 달러(1000만 달러는 3~5개의 전략적 투자사 대상, 1000만 달러는 커뮤니티 대상)
토큰 가격: 할인 없음
락업 및 언락 기간: 2년 토큰
콜옵션: 행사 가격 토큰 가격의 2배, 만기 2년
기간: 2년 락업, 2년 분배/ 커뮤니티는 락업 또는 베스팅 없음(추후 변경될 수 있음)
콜 옵션: 행사 가격 현재 토큰 가격의 2배(추후 변경될 수 있음) 만기 2년, 2년간 분배
커뮤니티에 의한 새로운 투자 방식
위 내용을 정리해보면 스시스왑 팀에서는 커뮤니티의 의견을 적극 반영했습니다. 사실 스시스왑 팀은 크립토펀드들을 대상으로 비공개적으로 투자를 유치했을 수도 있었지만 그렇지 않았고 커뮤니티의 의견을 존중하기 위해 공개적으로 투자를 진행했습니다.
스시스왑 커뮤니티는 크립토펀드들에게 어떤 부가가치와 이점을 줄 수 있을지 증명하기를 요구했으며 크립토펀드들은 커뮤니티로부터 선택받기 위해 자신들의 장점과 능력을 피칭했습니다.
또한 커뮤니티는 크립토펀드들이 단순히 토큰을 할인받고 토큰 분배 일정을 조율하면서 투자하는 것이 아닌 크립토펀드들의 결과와 능력에 맞는 투자를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스시스왑의 투자 사례를를 보면 앞서 소개된 것처럼 토큰 채권화, 콜옵션 등 여러 조건이 포함된 투자 방식도 등장했습니다. 앞으로 커뮤니티에 의한 DAO(탈중앙화 조직)가 주목받으면서 다양한 방식의 투자와 함께 암호화폐 투자 시장도 점차 성숙해지고 투명해지리라 생각됩니다.
#현재 나와있는 크립토 이코노미 플레이어들
Creative Juice initially will focus on valuing and buying minority stakes in YouTube channels and supporting creators with mentorship. It’s part of a growing trend toward platforms aimed at meeting the financing needs of the creator economy by offering investors the chance to buy into creators’ future earnings in various forms.
크립토를 이용한건 아니지만 Juice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기금을 조성. 이처럼 소속 크리에이터를 위해 따로 자금을 모으는게 요즘 두드러지는 트렌드. 크리에이터들에게 경제적 동기가 매우 중요해지는 것은 분명한 흐름이다.
Mirror is building a creator-focused protocol. We work with creators to understand their needs, write smart contracts, deploy them to the Ethereum network, create interfaces to access these smart contracts, and have the goal of developing a new type of network to help creators solve their problems.
미러는 크리에이터에 포커스된 프로토콜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함.
One prominent example of a social token is $RAC, a community token by the Grammy award winning recording artist RAC, issued through Zora. Token holders get access to a private Discord group and receive early access to merch drops with more perks to be added in the future. The token was retroactively distributed to his supporters including Bandcamp and Patreon supporters, people who had bought merch, and will eventually be distributed to all Twitch supporters. This allows creators to directly interact with and reward their early supporters.
RAC 토큰. 보유한 사람들만 프라이빗 디스코드 방에 들어갈 수 있음. 따라서 유틸리티 토큰으로 작동한다.
Early experiments of social tokens involved people tokenizing their time. For example Reuben Bramanathan, who previously worked on legal and product at Coinbase, tokenized his time where 1 $CSNL token equaled 1 hour of his time and was freely traded. We also saw people attempting to tokenize part of their future income. Platforms like Roll and Coinvise make it easier for people to issue their own token.
자신의 시간을 파는 토큰도 등장
"NFT 자산의 정교한 가치평가 모델, 리스크 평가 모델, 유동성 평가 모델을 제작하고, NFTBank.ai 서비스를 유저들이 쉽게 NFT 자산 관리와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접할 수 있는 창구를 제공해요. "게임 NFT를 필두로 다양한 디지털 자산이 쉽게 거래되는 세상의 촉매제🧪가 되고 싶다는 생각을 하며 창업을 결심하게 되었습니다😎우리는 블록체인 기술이 더욱 다채로운 디지털 소비 문화를 만드는데 기여하며, 특히 프로슈머 (producer + consumer)의 세상을 가속화 시키는 중요한 매개체가 될 거라고 믿어요!NFT 셀러 허브는 판매자의 NFT 판매를 촉진하는 플랫폼으로 발전할 거에요.이 과정을 통해 발전된 **Core 알고리즘🔬 (자산 밸류에이션, 가격 산출 모델, 추천 모델)**은 추후에 다양한 NFT 기반의 금융 상품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며, NFT insurance, mortgage & lending, other derivatives를 가능하게 할겁니다!
NFT뱅크에 대한 설명. "자산 밸류에이션, 가격 산출 모델, 추천 모델"이 핵심이고 실제로 구현해내었다.
One of the tools that enabled a new wave of social tokens was Collab.Land, which built a Telegram and Discord bot that connects to an Ethereum wallet to verify token balance before joining a chat group. This allowed for the creation of token permissioned groups, such as $JAMM and $KARMA with their native tokens, which helped make sure that those joining the group had a certain level of skin in the game. Another feature of Collab.Land is a leaderboard that keeps track of who has contributed the most to the chat group. You could imagine token rewards distributed to those with the highest amounts of participation to reward engagement.
Another useful social token tool is Unite Community which allows for creators to easily distribute their tokens to followers through their social media channels and reward engagement.
다양한 유틸리티성 토큰들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까?
I think successful creator-focused protocols will go through three phases:
Phase 1: Creator Mode: selling crypto-native products
Phase 2: Org. Mode: building crypto-native communities and businesses.
Phase 3: A Protocol Economy: Build a community owned and operated protocol with minimal involvement from the initial development team. Ongoing development is driven by community-led committees with active participation from creators, curators, collectors, and a developer ecosystem."
크리에이터 생태계는 위와 같은 단계로 발전할 것. 먼저 크립토를 기반으로한 서비스/제품이 등장하고 → 잘 돌아가는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 결국엔 진짜로 다른 사람의 개입 없이 참여자들로만 조직이 운영되는 모습으로 나아갈 것
The Three Components of Crypto Success
Product/market fit
Community participation
Incentives (Fees), Distribution (Tokens)
Sufficient decentralization (community ownership)
a16z에 따르면 위의 단계를 순서대로 거쳐야 한다. 마찬가지로 먼저 크립토를 기반으로한 서비스/제품이 등장해서 PMF 찾고 → 인센티브와 분배를 잘 설계해서 커뮤니티 참여와 충성도를 높이고 → 결국 커뮤니티 참여자들의 거버넌스에 의해서 진화하게 될 것이다. (바로 위랑 똑같넹)
And like an OS, they enable creations that could never have been anticipated. So when thinking about Creator DAOs forget about the structures that currently exist today. Beginner’s mindset is a critical attribute to how we evolve our thinking and our products, and presenting a new paradigm to how things could be architected will not just evolve our current models but create entirely new ones for us to leverage and explore.
주의할점은 크립토 시스템이 기존의 시스템이 발전하기보단, 완전히 새로운 개념으로 바라봐야한다는 주장. (앞서 언급한 next 주식회사다)
The difference is the more fluid and flexible nature of a token. Most companies don’t sell shares to the public until fairly late in their evolution given the transaction, regulatory and coordination costs associated with going public. Meanwhile, private company shares are difficult to sell, generally locked up, either by contract or practical reality, for years. Tokens are typically issued early if not at the beginning of a project. They can and do sell whenever the owner desires. And the potential use-cases are as broad as the creators can imagine. It’s slow and expensive, for instance, to reward a small contribution to a traditional company with an equity grant. But tokens make it easy and inexpensive. You’d never have a special shoe design available only to private equity investors. There wouldn’t be enough of them for that to be worthwhile. With tokens, it makes perfect sense.
길게 보면 주식회사라는 개념도 토큰을 통해 변화할 수 있다. 현재 주식회사보다 나은 점은 비상장시기 없이 언제든 사고팔 수 있게 되고(유동성 확보), 보유자들이 할 수 있는게 더 많아지고(투표 참여, 유틸리티 토큰이면 도구로 활용, 때론 프로토콜이 얻은 수수료를 분배받음 배당처럼, 등등)
SAFE 같이 토큰을 활용한 SAFT를 제안
It’s absolutely true then that, conditional on telling the world your ideas, ideas are usually worth nothing. And this is nobody’s fault. The fact is, VCs and Angel Investors focus on execution because the marketplace for ideas has very, very poor economics.
Anyway though, maybe you’d prefer the meme explanation at this point: Planck is kind of like a tokenized Patreon crossed with an auction house, but for knowledge.
흔히 스타트업에서는 아이디어보다 실행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게 과연 진실일까? 라는 질문을 던질 수 있었다. 저자는 아이디어를 위한 마켓플레이스가 구축이 안되어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크립토가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이러한 크립토 경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선 그래도 어느정도 가치평가가 가능해야할텐데, 이를 위한시스템은 이미 꾸준히 발전하고 있는 상태.
Understanding current price discovery mechanisms
The Sale Mechanism, The Auction Mechanism, The Fractionalization Mechanism
Capital efficiency is what makes price discovery disruptive
Price Computation(NFT Bank), Expert Networks, Peer Prediction Oracles, Derivative-Implied Pricing
가치평가가 발전하면 아래의 것들이 가능해진다
Here are some practical applications of price discovery.
A creator will be able to produce a work and an efficient market of appraisal games will offer liquidity for that work in a completely automated manner. As such, this would be an utterly disruptive mechanism for monetizing creativity, content, and digital goods.
Oracle-based pricing will be used to valuate portfolios and collections of nonfungibles to discover new value.
“Instant pricing” of NFTs can be used to create a lower bound at which holders can always liquidate their assets. Neolastics have proposed mechanisms along similar lines, and other price discovery might be applicable across a wider range of goods.
Any application which uses NFTs as collateral can rely on on-chain pricing to control risk. For example, a lending protocol can set liquidation margins based on automated pricing. Or, in a more technical application, optimistic rollups can potentially use this mechanism to lower “roll-off” costs for NFTs from layer 2.
Investors can make purchase decisions faster and more efficiently with suggested prices.
We can create decentralized NFT indices backed by the security of appraisal games instead of trust or collateral. This can create major efficiencies for investors seeking exposure to the NFT space but hesitant to evaluate on an asset by asset basis.
NFT를 비롯하여 토큰의 가격 책정 모델이 다양화되고 구체화될 것.
결론: 크립토는 우리 세대의 주식회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꼭 회사에만 적용되는게 아닌, 그 어떤 것에도 붙일 수 있다고 생각하고 크리에이터가 첫번째 대상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급진적인 상상을 해보면 개개인의 가치평가가 가능해지는 시대가 올 수도 있겠네요→ 사람에게 투자하는 시대의 오픈).
놓치지 말아야할건 크립토 이코노미에서는 커뮤니티가 매우 중요하며, 그만큼 개개인의 참여가 중요해진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개개인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인센티브나 유틸리티를 제공하는등 다양한 것들이 제공되겠죠. 그래서 특히나 초기에 참여하고 익숙해지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결국은 이것도 컴퓨터 혁명의 일부이고(인터넷-모바일-클라우드-AI&크립토), 그만큼 디지털화가 가속화되어가는게 아닐까 싶네요. 크립토는 결국 프로토콜이거든요.
#마지막으로
지금 네가 만나는 사람과 네가 가는 곳과 네가 읽는 책이 너를 말해준다 - Linchpin
연휴를 마무리하기 좋은 글이네요.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